반드시 알아두어야할 청년 정책 5가지
1. 청년 내일채움공제
청년의 중소·중견기업 신규 취업과 장기 근속 촉진을 위해
청년,기업,정부 3자가 함께 청년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사업으로
사회초년생이 목돈을 마련하기 좋은 제도입니다
https://www.sbcplan.or.kr/intro.do
내일채움공제
내일채움공제
www.sbcplan.or.kr
2. 청년 구직활동 지원금
고정 수입이 없는 취업준비생 (만 18~ 34세) 을 위해 월 50만원씩 6개월 지원하는 사업으로
오늘(2020년 3월 25일)부터 온라인 청년센터에서 상시 신청이 가능합니다.
고용센터 방문 신청은 안 되기 때문에, 첨부 서류도 모두 온라인에 업로드 해야 합니다.
https://www.youthcenter.go.kr/main.do
온라인청년센터
www.youthcenter.go.kr
3. 청년 우대형 청약 통장
사회 초년생, 청년에게 내 집 마련을 위한 기회 제공하고 연 소득 3천만원 이하 근로소득자 중 무주택자 세대주를 위해 지원하는 사업으로 매월 2만원~50만원을 넣을 수 있고 일반 청약통장보다 금리 높다는 것이 장점입니다.
https://www.gov.kr/portal/service/serviceInfo/161300000088
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| 정부서비스 | 정부24
선정기준 닫기 ㅇ 연령 : 만19~만29세 이하(단, 병역기간 최대 6년 인정) ㅇ 소득 : 소득이 있는 자로 연 소득 3천만원 이하인 자(근로소득, 사업소득, 기타소득 모두 인정) ㅇ 주택 : 무주택인 세대주, 무주택이며 3년 내 세대주 예정자, 무주택세대의 세대원(단, 세대주는 3개월 이상 연속하여 유지하여야 함)
www.gov.kr
4. 역세권 청년주택
https://youth.seoul.go.kr/site/main/content/station_youth_house
역세권 청년주택 | 살자리 | 서울청년포털
서울청년포털,사업개요 청년들의 더 나은 주거환경과 주거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청년임차 보증금 융자지원 사업을 시행하니 많은 신청 바랍니다. 청년의 주거안정을 위해 통학 및 출근이 용이한 역세권에 청년 임대주택을 공급하는 사업입니다. SH공사 공고문 바로가기 > 혜택(임대료 및 지원금 등) : 주변 시세의 60~80% 가격으로 공급 : 청년들이...
youth.seoul.go.kr
5. 국민내일배움카드
http://www.hrd.go.kr/hrdp/ma/pmmao/indexNew.do
HRD-Net
개설 훈련과정 28590개 개설 훈련과정 2646개 개설 훈련과정 1932개 개설 훈련과정 1923개 개설 훈련과정 1740개 개설 훈련과정 1688개
www.hrd.go.kr
'나의 일상 > 생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기소개서 작성방법 (1) | 2020.11.11 |
---|---|
토익공부법 (0) | 2020.09.08 |
코로나로 인한 '방콕' 인들을 위한 홈 트레이닝 5가지 (11) | 2020.03.27 |
열정 품은 타이머, 열품타 (6) | 2020.03.25 |